본문 바로가기
728x90

독서7

포스트모던의 조건 / 8.서사 기능과 지식의 정당화 8. 과학 언어 게임에서 정당화 문제는 최초부터 실증주의라는 방식에 도달하기 전까지 존재했다. 실증주의 이전에 과학 지식은 서사 지식에 의존하여 정당화 할 수밖에 없었다. *대화 게임 [플라톤의 '대화'에 등장하는 과학 게임] / 최초라 불릴 수 있음 과학의 화용법 포함(연구 / 교수) 정당성 문제: 정당성은 대화 속에서 제기된 것들 가운데 있어야 한다.[사회 / 정치적 권위와 관련] 각각의 대화는 과학적 토론이라는 서사의 형식을 띠고 있다. 3.1: 그런데 플라톤의 담론은 그리 과학적이지 않다. 즉 서사지식에 의존해야 과학적 지식은 자신이 진정한 지식이라는 사실을 알릴 수 있다. 서사지식에 의존하면 부당 전제의 오류에 빠지고, 서사지식에 의존해도 마찬가지: 정당화의 문제 과학의 정당화 담론에서 과학적인.. 2023. 8. 5.
포스트모던의 조건: 7. 과학 지식의 화용법 7.과학 지식의 화용법 과학 지식의 화용법은 (1) 연구게임 과 (2) 교육 게임으로 구별된다. *연구게임 1-과학적 진술로서의 수용성 여부를 규제하는 규범의 범주 발신자는 지시 대상에 관해 진실을 말해야 한다. 1.1사실에 증거를 대야 하고, 반론에 반박할 수 있어야 한다. 수신자가 듣고 있는 진술에 대해 정당하게 찬반 표현이 가능해야 한다. 2.1: 찬반 표현이 '가능'하단 점에서 수신자는 잠재적 '발신자'가 된다. 2.2: 그러므로 수신자는 발신자와 동일한 자질을 갖추고 있어야 한다. 2.3: 2.1과 2.2는 수신자가 말을 할 때만 드러난다.(그 전에는 알 수 없다.) 지시 대상은 그의 진술에 의해 실제 사실과 부합되도록 '표현되어야'한다. 3.1: "증명한 것이 진리라는 증거가 어디에 있는가"에.. 2023. 8. 1.
스트레스의 힘 /사용법 - 켈리 맥고니걸 불안감은 자원이 될 수 있다. 에너지를 주고 있는 것이다. 위협에서 도전으로 전환시켜야 한다. '안해도 되면 좋을 텐데' > '하면 도움이 된다' 불안감과 공존해야 한다. 공포 앞에서 비장해져야 한다. 2023. 7. 3.
이기적 유전자-5장 요약과 리뷰 벌써 5장까지 읽었다. 글을 읽어나갈수록 이 책이 생각보다 깊은 사고를 요구한다는 것을 계속해서 깨닫게 된다. 이 정도 되니 요약과 리뷰를 하는데 심리적인 부담도 생긴다. 그래도 일단은 약간의 의무감을 갖고 요약과 리뷰를 적어보려고 한다. 이번 주제는 이해하는 데는 어렵지 않았으나 이 내용을 막상 요약하려고 하니까 정말 어려운 느낌이다. 그래도 최선을 다해서 이 내용을 요약하고 쉽게 다가갈 수 있게 글을 적어보겠다.(사실 리처드 도킨스께서 이미 과학적인 내용을 너무나 일상의 언어로 잘 설명해 놓으셨다. 이러한 이유 때문에 글이 조금 장황하게 길게 느껴진 면도 있지만, 리처드 도킨스의 독자층을 위한 노력이 한껏 느껴지는 부분이었다. 이번 리뷰는 길게 상세한 예시를 들어 설명하기보다는, 큰 줄기로 담백하게 .. 2023. 4. 5.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