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품의 정의는 "사람의 품격이나 품위. 또는, 사람의 됨됨이."이다. 인품을 기른다는 것은 자신의 됨됨이와 품격이나 품위를 스스로 드높인다는 것이다. 인품을 기르는 것은 자신의 단점을 인정하고 극복해 나가는 것에서 시작된다고 생각한다.
인품을 기르는 순서는 다음과 같다.
1. 자신의 단점 인정하기.
여기서 말하는 자신의 단점은 내가 나 스스로에게 생각하는 단점과, 남이 '나'를 보았을 때의 단점 둘다 포함된다.
내가 이미 생각하고 있던 단점은 이미 자신도 인정하고 있다는 것이기 때문에 문제가 되지 않지만, 내가 몰랐던 단점들은 인정하기가 쉽지 않다.
그런 이유 때문인지, 주변 사람들이 자신의 단점에 대해 얘기해줄 때, 대개의 사람들은 "내가 그런다고?", "뭔소리야" 라며 넘기기 바쁘다. 자신의 단점을 인정하기 싫은 이유 때문이다. 또한, 더 나아가서 그 단점을 얘기한 사람들까지 싫어하게까지 된다. 이는 인품을 기를 때 옳은 방법이 아니다.
남이 자신의 단점에 대해 얘기해준다면, 오히려 인품을 기를 기회가 될 수 있다.(사람은 자신에게 관대하여 자신의 잘못을 잘 인지하지 못하는데, 이를 얘기해주는 사람이 있다면 개선할 것이 있다는 것이기 때문.) 인품이란 자신의 잘못과 단점들을 인정하고, 개선해 나가는 과정에서 발전되어 간다. 따라서 단점을 인정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하지만 단점을 얘기해주는 사람이 깎아내리려는 의도가 있다면 그사람의 말은 무시하여도 좋다. 왜냐하면 그 사람이 너에게 한 말들은 충고가 아닌 너의 자존감과 자신감을 떨어뜨리려는 의도이기 때문이다.
2. 단점 개선하기
자신의 단점을 인정했다면, 개선하는 것은 몹시 쉽다. 당신이 할 일은 5~10분동안 자신의 단점에 대한 해결책을 고민해 보는 것이다. 고민하다보면 그에 맞는 해결책이 분명히 나올 것이라고 생각한다. 만약 해결책이 나오지 않더라도 좋다. 왜냐하면 당신은 이미 단점을 인정했기 때문에, 단점을 인지한 후의 행동은 분명히 전과 달라질 수밖에 없다. 더 조심하고 더 그 단점에 대해 생각할 것이기 때문이다.
단점을 하나 하나씩 개선해나가다 보면 당신은 뛰어난 인품을 기를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매력적이게 보일 것이고, 많은 사람들도 당신을 따를 것이다. 하지만 주의사항도 있다.
*주의사항*
자신의 단점에 대한 강박증 느끼지 않기.(강박증을 느끼면 주변 사람들도 불편하게 만들고, 자신도 우울해짐.)
당신의 단점을 지적해주는 사람의 의도 파악하기.(의도가 당신을 위한 것이 아닌 불순한 의도라면 무시해야 마땅함.)
단점이 장점일 수도 있다는 것을 명심해야 함.(예를 들어 직설적일 말을 내뱉는 사람은 솔직해 보이고 호쾌해 보이는 성격으로 보일 수 있다. 이는 단점으로 남길지 장점으로 남길지 자신의 판단에 따라서 결정하는 것이 좋다.)
3.장점 기르기
타산지석-하찮은 남의 언행일지라도 자신을 수양하는 데에 도움이 된다는 말. "타산지석"을 기억하면 장점을 기를 수 있다. 이 말의 뜻을 곰곰히 생각해보며 생활에 실천한다면 당신은 상대방의 장점을 빼았아 자신의 것으로 만들 수 있을 것이다.
***이는 필자의 생각이므로 다르게 생각하는 점이 있거나 추가할 점이 있다면 댓글로 달아주세요.
'철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남의 마음을 읽는법 (0) | 2021.08.16 |
---|---|
과교육(誇敎育)의 문제 (0) | 2021.07.27 |
현대인들이 쓰고다니는 가면 (1) | 2021.07.11 |
권력은 사람을 송두리째 바뀌게 만든다. (0) | 2021.07.09 |
인생에서 후천적 요인은 얼마나 작용하는가? (0) | 2021.07.05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