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전체 글196

[소프트웨어 강화 프로젝트] 데카르트 철학 이해해보기 철학이란 소프트웨어철학은 우리의 사고방식을 확장하는 소프트웨어와 같습니다. 새로운 철학을 배우고 사고하는 법을 익히는 것은, 더 나은 소프트웨어를 다운로드하는 것과 같습니다. 최신 컴퓨터를 사용하면서도 윈도우 98을 깔아둔다면 제대로 활용할 수 없듯이, 우리의 사고방식도 계속해서 업데이트해야 합니다. 요즘 사람들은 컴퓨터는 꾸준히 업그레이드하면서도 정작 자신의 사고방식은 업그레이드하지 않는 경우가 많습니다. 인생을 더 깊고 다채롭게 바라보기 위해, 함께 철학을 다운로드해봅시다.중세 철학의 출발점(1) 중세 철학중세 시대는 신학이 철학을 지배하던 시대였습니다. 철학은 신학을 정당화하기 위한 도구로만 존재했죠. 이 시기의 철학은 성 아우구스티누스의 영향 아래 있었으며, 그는 플라톤 철학과 기독교 사상을 융합.. 2025. 3. 25.
인간이란 실망스럽고 또 실망되어지는 것인가 봅니다. 인간이란 실망스럽고 또 실망되어지는 것인가 봅니다. 인간 존재, 그들의 시선. 나는 항상 그 안에 있습니다. 그런데 저는 어째서인지, 항상 그들의 눈빛에서 아무런 것도 읽어내지 못합니다. 그들의 눈빛이 공허한 것인지, 그들이 뭔가를 감추고 있는 것인지, 저는 무엇도 파악하지 못하는 것 같습니다. 명랑함과 행복함. 나는 그러한 속성에 메스꺼워집니다. 제가 밝은 웃음 뒤에서 은밀하게 움직이는, 그렇게 아득한 그림자들을 고민하기 때문일 것일까요. 우리는 행복 뒤에 서려있는 무언가를 의심해야 할 지도 모릅니다. 그곳에는 메스꺼운 사랑과, 아름답지 않은 아름다움이 있을 수도 있으니깐요. 어떤 존재에게 기대하고 기댄다는 것은 어려운 것입니다. 우리가 인간 존재에게 물음을 던지는 한에서 말입니다. 나는 그렇게 또 무.. 2025. 3. 25.
하이데거와 들뢰즈 철학은 개념의 생성이자 변형의 역사다. 어떤 철학자는 이전 철학자의 문제의식을 계승하면서도, 그 개념을 전도하거나 전복함으로써 새로운 사유의 지평을 연다. 이는 개념의 단절이 아니라 지속적인 접속과 재배열의 과정이다. 마치 접힌 주름이 다시 펼쳐지면서도 전혀 다른 형태를 가지듯이, 철학적 개념은 단순한 계승이 아니라 새로운 차원의 운동 속에서 재구성된다. 마르틴 하이데거와 질 들뢰즈의 사유를 비교하는 것은 단순한 철학사적 대조를 넘어, 개념의 이동과 변형을 추적하는 작업이 된다. 특히, 존재와 의미의 관계를 둘러싼 두 철학자의 차이는 철학이 서로 다른 패러다임 속에서 어떻게 작동하는지를 드러내는 중요한 사례다.하이데거는 존재를 단순한 사물적 실재로 보지 않는다. 존재는 항상 이미 주어진 것이지만, 인간은.. 2025. 3. 21.
하이데거-2 *실존이란 무엇인가하이데거의 실존 Eksistenz이란 무엇인가? 하이데거에게 실존이란, 가능성과 유일하게 관계 맺는 인간, 현존재의 고유한 존재 방식을 말한다고 볼 수 있다. 하이데거는 자신에게 펼쳐진 무한한 가능성을 깨달았을 때, 즉 세계의 전체성을 깨달았을 때, 실존을 포착한다고 말한다. 이러한 실존의 포착은, 세계의 전체성을 깨닫는 것과 동시에, 세계 속에서 개별적으로 존재하는 자기 자신, 각자성을 깨닫는 것을 말한다. 이것은 다른 존재자들의 존재 방식과는 다른, 현존재만의 고유한 존재 방식이다. 현존재가 아닌 다른 존재자들은, ‘눈-앞에-있음’ ,‘손-안에 있음’이라는 존재 방식으로 존재한다. 이러한 존재 방식은, 인간의 관점에서 인간이 눈앞에서 ‘보고’, 다룰 수 있는 방식(도구성)으로 존재하.. 2025. 3. 21.
728x90